RAN HWANG / David Ebony 2021



HOPE SPRINGS ETERNAL: RECENT WORKS BY RAN HWANG

by David Ebony

 

Hope springs eternal in the human breast:

Man never is, but always to be blest.

The soul, uneasy and confin’d from home,

Rests and expatiates in a life to come. 

—Alexander Pope

 

Ran Hwang is known for large-scale installations and constructions composed of innumerable plastic or paper buttons, or beads attached to the ends of long nails or pins. She hammers these elements into various surfaces—Plexiglas panels, wood, and sometimes directly into the plaster walls. The subjects of her imagery are often monumental-size Buddhist temples, palaces, giant eagles or mythic phoenixes. Sometimes she employs several assistants to help realize these elaborate endeavors.

For her recent works, however, creat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vid-19 global pandemic, she often worked alone, in solitude, creating more intimate-size pieces with gentle themes—most often white plum blossoms flowering on sinewy branches, with bright, richly hued monochrome backgrounds. She aims to impart with these pieces a spiritually uplifting and positive message of hope in the midst of the devastating pain and tragedy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so many people to suffer and endure around the world.

Hwang titled her New York show of these recent works Hope Springs Eternal, a poetic phrase first introduced by Alexander Pope in his lyrical Essay on Man (1732-1734). Like Pope, Hwang uses the phrase as an expression of unwavering faith that human beings have a capacity to harbor hope and optimism even in the face of the most formidable adversity.  

Apropos of the show’s theme, the plum blossom image that Hwang favors in these works relates to traditional Korean painting. It symbolizes courage and strength, as one of the earliest signs of spring, defying the last of winter’s chill in order to flourish. The ephemerality of the blossoms is significant as it alludes to the fleeting phases of human existence on earth. 

The artist grew up in a Buddhist household in Korea, and her father taught at the local Buddhist temple. In his spare time, he created paintings in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which Hwang learned to appreciate at an early age. The plum blossom is one of the so-called Four Gentlemen symbols of traditional East Asian painting, along with the orchid (whose Korean name is related to the artist’s name, Ran), symbolizing wisdom; the chrysanthemum, representing peace and well-being; and bamboo, which signifies fortitude and longevity.      

Hwang uses the traditional motifs in quite contemporary ways. In Mystery Life (all works 2021), for instance, a branch of plum blossoms—white paper buttons pinned to a rectangular Plexiglass surface—appear enveloped in an ethereal mist that shifts from blue on the left to deep lavender on the right. The optical effect, created with the help of tinted Plexiglas, engenders a rather abstract, psychological space, like an otherworldly dreamscape.

Self Reflection V, and Self Reflection Y, indicate personal meditations, as their titles suggest. The creation of works like these involves an almost ritual performative aspect. There is a rhythmic, trancelike repetition of movement that is integral to the process of the work, from the outset to its realization.

Corresponding to the monks hammering the prayer bells in Buddhist temples, which Hwang recalls from her youth, each of the components—buttons and pins—are pounded into the surfaces with calibrated strokes of the hammer, usually thirty times for each element. This ritual component of the work sets Hwang’s methodology apart from other contemporary artists with related techniques, such as German artist Günther Uecker, of the Zero Group, whose hammered-nail compositions aim for a range of purely optical effects. In addition, Hwang assigns an anthropomorphic attribute to the pins and buttons themselves, as each refers to the human head and body.  

“All of my work is a meditation,” Hwang frequently says. “With these new works, I hope to bring light into peoples’ hearts, and help heal their inner wounds.”

Many of the recent works feature Plexiglas hemispheres, some backlit with LED lights, adding to the intensity of the already luminous surfaces. These forms, embellished with clusters of blossoms, hint at the shape of the Coronavirus itself as it appears in microscopic detail. The series Nothing Forever has circular shapes surrounded by gold frames, suggesting portals to another time and space. In Past Memories, clusters of red blossoms appear embedded on the surface of a round wood tabletop inlaid with mother-of-pearl, traditionally used for year-round Korean memorial services.

The recent works are elegiac in theme, but celebratory in tone. Their physical comportment is full of brilliant color and light; the circular forms of many works convey a centrifugal energy and appear as meditation mandalas related to Asian art. While Hwang’s three-dimensional tondos allude to the sublime order of nature, as well as cosmic perfection, the oval compositions, such as the Alter Ego series and Ode to Second Full Moon are even more evocative in their internal energy and transcendental allure. As theorist Rudolf Arnheim notes in his influential book The Power of the Center, “The oval pays with a loss of centric symmetry for an increase in tension. The Renaissance cherished the circle as the shape of cosmic perfection, the Mannerist phase of the Baroque took to the high-strung ellipse. . . It is true that the ellipse has a stabilizing symmetry of its own.”[1] Hwang’s work does, indeed, harbor a stabilizing symmetry of its own.

Coinciding with the exhibition of these relatively intimate works, Hwang was in the midst of creating a sprawling mural for the lobby of the Facebook offices at New York’s Hudson Yards. The work features a dramatic, intensely colorful image of a hybrid creature—part eagle, partly the mythological phoenix. The eagle as symbolic of the U.S., and the phoenix representing Asia, embodies the artist’s situation of dividing her time and attention between New York and Seoul. The bird grasps in its talons a cluster of colorful threads, which the artist suggests represents souls felled by pandemic, as well as a memorial tribute to comfort the families and loved ones left behind. Here, too, Hwang reflects on the present moment, while indicating, metaphorically at least, a dazzling and optimistic projection of humanity’s inevitable triumph over this current calamity. In a world full of tumult and uncertainty, the mural, as well as each of the works in Hope Spring Eternal, offers a contemplative respite and an emotional calm that lately has been in short supply. ● 

 

Essay ©David Ebony 2021.

 

 

David Ebony is a Contributing Editor of Art in America, and the author of “David Ebony + Art Books,” an ongoing column for Yale University Press online. The author of numerous artist monographs, he lives and works in New York City.   




[1] Rudolf Arnheim, The Power of the Cente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p. 88-89.





희망은 영원히 샘솟는다 : 황란의 최근작들에 대하여


데이비드 에보니 (2021)

(번역: 최미수)




희망은 인간의 가슴속에서 영원히 샘솟는다.

인간은 축복 받지 아니하고도 축복을 염원하느니,

영혼은 집을 떠나 불안 속에 갇힌 채

다가오는 인생의 안락함을 부연 할 뿐이다.

-알랙산더 포프[1]




황란은 수없이 많은 플라스틱이나 한지 재질의 단추 혹은 비즈를 핀으로 연결해 망치로 박아 제작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물들을 아크릴 패널, 목재 그리고 벽면 등의 다양한 종류의 화면에 망치로 박아 고정한다. 황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제는 주로 절, 궁, 커다란 독수리 혹은 신화 속 불사조(봉황)이다. 때로는 여러명의 조수들을 고용하여 이런 정교한 작업을 실현한다.

최근 작품들은 COVID-19 기간에는 한국과 미국에서 주로 혼자서 고독한 작업을 이어갔는데, 여러 가지 밝은 빛깔의 단색의 바탕을 배경으로 튼실한 가지위에 핀 매화를 묘사한 소규모의 작품들을 제작했다. 황 작가는 COVID-19 때문에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겪는 고난과 비극의 상황 속에서 작품을 통해 정신을 고취하고 긍정적인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황란은 최근의 뉴욕전시 제목을 Hope Springs Eternal 로 지었는데 이는 알렉산더 포프의 시 Essay on  Man(1732-1734)의 한 구절에서 인용한 문구이다. 포프와 마찬가지로 황 작가는 작품을 통해 인간은 본성적으로 아무리 힘든 역경 속에서도 희망과 낙관을 품는 굳은 의지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전시의 주제에 관하여, 황 작가의 작품에서 매화가 자주 등장하는데, 한국 전통 회화에서, 기개와 강인함을 상징하고 지난 겨울의 추위를 이겨내고 초봄을 알리며 번영을 예고하는 꽃으로 알려졌다. 여기서 꽃의 단명성은 인간의 존재론적 유한성을 극명하게 암시한다.

황 작가는 한국의 불교 집안에서 자랐고 그의 아버지는 어느 한 동네에 있는 절에서 선생님으로 지냈다. 황 작가는 여가 시간에 한국 전통 형식의 회화를 즐겨 그리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 매화는 난(지혜를 상징하며 작가의 이름 ‘란’과 관련 있다), 국(평화와 안녕을 상징함), 죽(불굴의 의지와 장수를 상징함)과 더불어 동양화의 사군자의 식물 중 하나이다. 

황 작가는 전통적 모티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 예를 들면, Mystery Life(2021) 에서 가지에 핀 매화들을 표현하는데 우측에서 바라볼 때의 푸른빛이 좌측에서는 진한 라벤더 빛깔로 변하는 영묘한 안개에 둘러싸인 듯한 직사각형의 아크릴판의 바탕 위에 흰 종이 단추들을 핀으로 박아 그려졌다. 색을 입힌 아크릴 재질은 광학효과를 내며 모호한 심리적 공간성을 형성하는데 마치 신비로운 꿈속의 한장면 같다. 

Self Reflection V, 그리고 Self Reflection Y 는 제목이 시사하듯 개인적 명상에 대한 주제를 담고 있다. 이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마치 의식을 행하는 듯한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작업의 발단부터 완성까지 과정의 두드러진 점은 리듬감 있고 최면에 빠진 듯한 행위의 반복성이다. 

각각의 구성품인 단추와 핀들을 화면에 배치하고 높낮이를 조절하며 망치로 각각 30여회 두드려 박아야 하는데, 이 망치질 소리는 작가의 어린 시절에 절에서 승려들이 목탁을 두드리는 소리를 떠올리게 한다. 망치로 못을 박는 행위로 알려진 Zero Group의 독일 작가 귄터 워커(Günther Uecker) 를 비롯한 다른 현대 아티스트들의 유사한 테크닉들이 있는데 이들이 다양한 광학적 효과만을 추구하는 경향과 대조적으로 황란의 작품들은 의식을 행하는 듯한 방법론으로 차별성을 나타낸다. 심지어 황작가는 각각의 핀과 단추들에 의인관을 이입하여 단추는 사람의 머리 그리고 핀은 몸으로 바라보기까지 한다.

황작가는 이 말을 자주 하곤 한다. 

“제 작품들은 모두 명상입니다,”

“제 작품으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밝게 비추고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고 싶습니다”

최근의 다수 작품들은 반구 형태의 아크릴 틀을 사용하는데 그 중 일부는 이미 광채로 빛나는 화면을 LED 불빛으로 밝히는 작품들이다. 이러한 배경이 꽃송이들로 장식되어 있는데 언뜻 코로나바이러스를 확대한 듯한 모양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Nothing Forever는 둥근 모양의 배경이 금색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는 작품인데 시공간을 초월해 과거의 경험으로 거슬러올라가 작가가 어린시절에 보았던 한국전통 제사 때 사용되던 테이블과 연관깊다. 그것들은 매화 꽃송이들을 조개껍데기를 사용하여 박아넣은 장식들로 가득하다. 

최근작들은 애잔한 엘레지와도 같은 주제를 축하하는 밝은 어조로 전한다. 물리적 모양새는 형형색색의 밝고 선명한 색상들로 이루어져 있고 원심적 에너지를 전달하는 원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동양화에서 자주 나타나는 만달라 명상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황작가의 입체적인 원형 작품들은 숭고한 자연의 이치와 우주의 완전함을 암시하는 반면, Alter Ego 연작 그리고 Ode to Second Full Moon 과 같은 작품들은 내면적 기운과 초월적 매력을 한층 더 강하게 풍긴다. 사상가 루돌프 안하임(Rudolf Arnheim) 은 그의 명망 높은 저서 The Power of the Center 에서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2]

“타원형은 원의 중심 대칭을 상실하는 대신 긴장감을 높인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우주의 완전함을 나타내는 원형을 선호했지만 바로크시대의 메너리즘 시기에는 날렵한 긴장감을 주는 타원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타원형은 그 나름의 안정감을 내포하는 대칭구조 이다.”

이처럼 황작가의 작품은 그야말로 그만의 안정감을 품고 있다. 

비교적 친밀한 작품으로 구성된 이 전시가 열리는 기간동안 황작가는 뉴욕 허드슨 야드에 위치한 페이스북 뉴욕지부의 로비에 뻗어있는 벽설치 작업을 제작하고 있는 중이었다. 미국을 상징하는 독수리와 동양을 상징하는 봉황의 하이브리드 생명체는 작가 개인이 뉴욕과 서울을 오가며 살았던 분리된 시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그 새는 발 뒤꿈치 끝으로 색색의 실뭉치를 뿜는데 코로나시기에 희생된 영혼들 그리고 가족들과 남겨진이들을 위로하는 추모기념물이다. 역시나 황작가는 현재 일어나는 사건들을 바라보며, 화려한 모습과 낙천적인 목소리로 현재의 재난을 이겨내는 인간의 승리를 은유적으로나마 나타낸다. Hope Springs Eternal 전에서 선보이는 벽화를 비롯한 각각의 작품들은 격동과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찾아보기 힘든 사색의 여유와 잔잔한 감흥을 선사한다.





데이비드 에보니는 아트인아메리카의 객원편집자이며 David Ebony + Art Books(예일대학교출판부) 의 저자이다. 뉴욕시에 거주하며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평론을 저술하였다. 





[1] David Ebony 가 황란에 대한 비평문에서 인용한 Hope Springs Eternal 은 16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비평가 알렉산더 포프의 시 Essay on Man 의 한 구절이다.

[2] 루돌프 안하임(Rudolf Arnheim), 캘리포니아대 출판부 (1988)